한미 외교차관 회담 개최. 사진=외교부

[청년IN / 노영민 기자] 한국과 미국 외교차관은 미국 워싱턴에서 만나 ‘종전선언’을 논의했지만, 미국 국무부는 ‘종전선언’이라는 단어조차 언급하지 않았다.

16일(현지 시간) 종전선언 등의 논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에서 한국과 미국의 외교차관 회담이 열렸다. 이 회담 이후에 한국은 “종전선언 소통과 공조의 빈틈없는 진행”을 강조한 반면에 미국은 종전선언 단어 자체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동안 정부가 미국과 종전선언 협의가 막바지에 도달해왔다고 했던 설명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한국이 문재인 정부 임기 말 종전선언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불가역적인 상황으로 진전시키려고 드라이브를 거는 것 역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입장에선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 15일 최종건 차관은 한.미 전략포럼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관련해 누구도 벗어날 수 없는 틀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종전선언이 이를 위한 좋은 방안”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외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양 차관은 종전선언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 방안에 대해 각 급에서 소통과 공조가 빈틈없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평가하고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견인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발표된 미국 국무부 자료에서는 종전선언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없었다. 미국 국무부는 회담 직후 보도자료에서 “양측은 북한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공동의 약속을 논의했다”라고만 언급했다. 대신 미국은 대중 견제 메시지에 무게를 실었다. 보도자료를 통해 “셔먼 부장관과 최 차관은 한.미 동맹이 인도. 태평양 및 그 이상 지역의 평화와 안보, 번영의 핵심축이라는 걸 재확인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과 각을 세우고 있는 코로나19대응과 기후위지, 공급망 구성 등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협력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협의에서는 한국과 이란의 현안에 대한 협의도 이루어졌다. 미국의 이란 제재에 따라 한국에 동결된 이란의 원유수출대금 70억 달러를 이란에 돌려주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