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버스터미널에서 사람들이 버스를 대기하고 있다. 사진=청년IN

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금처럼 계속될 경우 20년 뒤 전국 시군구 15곳에서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인구 이동 패턴이 세대별로 다르게 나타나면서 지역 간 불균형이 더 심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2042년 시군구별 경제활동인구 변화를 추정한 결과 이같은 격차 확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현재는 경제활동인구 1만명 미만 시군구가 단 한 곳도 없었지만, 2042년에는 15곳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다. 또한 30만명 이상인 시군구는 오히려 18곳에서 21곳으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했다.

◇ 세대별 이동, ‘청년은 대도시로·장년은 중소도시로’

청년층은 중소도시에서 대도시로 이동하거나, 인구가 감소하는 도시에서 인구가 늘어나는 도시로 옮겨가는 경향이 뚜렷했다. 반면 장년층은 거꾸로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하는 흐름이 확인됐다. 이는 교육·취업 기회가 많은 대도시로 청년층이 몰리는 반면, 생활 여건과 주거비 부담 완화를 고려한 장년층이 중소도시로 빠져나가는 구조로 풀이된다.

◇ 지역 격차 더 벌어진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이런 추세가 고착되면 지역 간 경제활동인구 불균형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청년층 유출이 가속화되는 지방 중소도시는 노동력 확보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반대로 청년층 유입이 몰리는 수도권은 과밀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 해법은 ‘지역 거점도시’와 ‘장년층 유인책’

한은은 청년층이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역 거점도시를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완화하려면 지방에 양질의 일자리와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지역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청년층이 머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장년층 이동에 대해서는 경제적 유인과 함께 복지·의료 서비스 확대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의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현재 장년 인구를 대상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면 인구 이동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